한국 교회사

새롭게 읽는 한국교회사(18) 선교기관과 기독교 교육

새롭게 읽는 한국교회사(18)
선교기관과 기독교 교육

1886년 스크랜튼(Mary F. Scranton,1832-1909)이 설립한 이화학당 최초의 학생들
1886년 스크랜튼(Mary F. Scranton,1832-1909)이 설립한 이화학당 최초의 학생들

1. 1909년 전국 950여개 미션스쿨

19세기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진행된 선교운동은 복음 전파만이 아니라 서구문화의 이기(利器) 곧 교육, 의료 혹은 서양 과학을 선교활동에 이용했다. 한국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한국에서의 선교는 기독교 복음 전파와 함께 서구문화 전파라는 성격을 띤 것이었다. 선교사들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서구문화의 전파자로서 역할을 했다.

당시 한국 사회의 현실적 필요와 요청 때문에 학교 교육이나 의료 활동은 각광을 받았고 이를 통해 선교의 지평을 넓혀갈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개화(開化)와 계몽(啓蒙), 사회변화, 민주의식, 구습 타파, 여권 신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변화와 개혁을 가져왔다. 말하자면 기독교는 한국 사회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준 것이다.

1885년 아펜젤라(Henry Appenzeller, 1858-1902)가 설립한 배제학당과 초기 학생들
1885년 아펜젤라(Henry Appenzeller, 1858-1902)가 설립한 배제학당과 초기 학생들

선교 지에 최초로 선교학교 곧 미션스쿨을 설립했던 인물은 스코틀랜드 첫 해외 선교사였던 알렉산더 더프(Alexander Duff, 1806-1878)였다. 1830년 23세의 나이로 인도 캘커타로 파송된 그는 선교 사역에 있어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을 입증해준 대표적 인물이었다. 그에게 교육은 복음을 전하는 최상의 수단이었다. 19세기 말 우리나라에 입국한 이들도 의료 활동과 함께 교육 활동을 복음 전도를 위한 중요한 방편으로 인식했다. 이것은 ‘개화’(開化)라는 우리나라의 역사적 당면과제와도 부합되는 일이다. 그러기에 당시 정부도 신(新) 교육 수용에 적극적이었다.

2. 한국 최초의 기독교 학교 배재학당

이런 상황에서 1884년 6월 24일부터 7월 4일까지 선교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내한했던 일본 주재 감리교 선교사 매클레이(Robert S Maclay, 1824-1907)는 정부와 접촉을 시도했고, 고종으로부터 미국 북감리회가 국내에서 교육과 의료사업을 해도 좋다는 최초의 윤허를 받았다. 그래서 입국한 선교사들은 학교 설립을 우선 과제로 여겼다.

1895년 멘지스(Belle Menzies, 1856-1935)에 의해 설립 된 최초의 지방 여학교 부산 일신여학교
1895년 멘지스(Belle Menzies, 1856-1935)에 의해 설립 된 최초의 지방 여학교 부산 일신여학교

그 결과 1885년 우리나라 최초의 기독교 학교인 ‘배재학당’이 아펜젤러(Henry Appenzeller, 1858-1902)에 의해 설립되었다. 1886년에는 언더우드에 의해 ‘경신학교’가 설립 되었고 감리교의 스크랜턴 여사에 의해 최초의 여자 학교인 ‘이화학당’이 설립됐다. ‘이화학당’은 1887년 2월 고종황제가 하사한 이름이었다. 경신학교는 예수교 학당, 민로아 학당, 구세학당 등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경신학교라는 이름으로 아직까지도 현존하고 있다. 1887년에는 여선교사 엘러스(Annie J. Ellers)에 의해 정신여학교가 설립 되었고 캠벨(Mrs. Josephine Eaton Peel Campbell, 1853-1920)에 의해 1898년에는 배화 여학교가 각각 서울에 설립되었다.

3. 한국 최초의 서양병원 세브란스병원(제중원 후신)

1886년 알렌(Horace Newton Allen, 1858-1932)에 의해 시작된 세브란스병원에서의 의학 교육은 한국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1899년 정식 의료 학교로 출범했고, 1901년에는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가 되었는데 1908년에 최초로 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이들이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였다. 이 학교는 후에 1915년 설립된 연희전문학교와 1957년 병합되어 연세대학교로 발전했다.

4. 한반도 전역에 세워진 기독교 학교

1885년 알렌에 의해 시작 된 세브란스병원 전신인 한국 최초 병원 제중원과 직원들
1885년 알렌에 의해 시작 된 세브란스병원 전신인 한국 최초 병원 제중원과 직원들

또 평양에서는 1897년 베어드(W. Baird)에 의해 숭실학교가, 1894년에는 모펫(S. Moffett)에 의해 숭인 상업학교가, 1899년에는 감리교의 노블(W. A. Noble)에 의해 정의 여학교가, 1903년에는 모펫에 의해 숭의 여학교가 각각 설립되었다. 대구에는 1903년 브루엔(H. M. Bruen)에 의해 신명 여학교가, 1906년 아담스(J. E. Adams)에 의해 계성학교가 각각 설립됐다. 그 외에도 선천, 강계, 재령 등 전국 여러 곳에 기독교 학교가 선교사들에 의해 속속 설립되었다.

부산의 경우 1895년 멘지스에 의해 일신 여학교가, 1906년에는 마산에 아담스와 이승규에 의해 창신학교가 세워졌다. 남장로교 선교부가 일한 호남 지방의 경우 전주에는 신흥학교(1900) 기전여학교(1902)가, 광주에는 숭일학교(1907) 수피아 여학교(1908)가, 목포에서는 정명 여학교(1902) 영흥학교(1903)가, 순천에는 매산학교(1913)가 각각 설립됐다. 캐나다 선교부는 함흥에 영생 여학교(1903) 영생남학교(1907)를, 간도에는 은진중학교 명신 여자중학교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 외에 감리교회는 서울 외에도 인천 수원 공주 등지에 기독교 학교를 설립했다.

청일전쟁 후 한국에서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그 후 사립학교가 급증했는데 1909년에는 전국에 950여개의 기독교계 학교가 설립됐다.

1897년 베어드(W. M. Baird, 1862-1931)가 설립한 평양 숭실학당 교사
1897년 베어드(W. M. Baird, 1862-1931)가 설립한 평양 숭실학당 교사

그 가운데 장로교 학교가 605개, 감리교 학교가 200개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된 학교들은 한국에서의 사립학교 교육을 주도하게 된다. 통계의 차이가 있지만 1910년 일제가 조선을 합병할 당시 조선총독부는 전국에 300여개의 기독교 학교에 약 3만 명을 헤아리는 학생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5. 기독교 학교에 의해 변화된 사회상

한국에서 기독교 학교는 세 가지 점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 교육은 특수한 계층의 일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이를 위한 것임을 일깨워 주었다. 즉 한국 사회에 공교육(公敎育·public education) 개념을 심어준 것이다.

둘째, 교육은 남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여성도 받을 권리가 있음을 일깨워 주었다. 각국의 선교부가 힘써 여자 학교를 설립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여자에게 있어서 무식은 덕이다.”라는 한국 사회의 고루한 전통 의식은 여자 학교 설립과 함께 불식되었다.

1914년 서울의 모습, 멀리 북한산과 남대문이 보인다.
1914년 서울의 모습, 멀리 북한산과 남대문이 보인다.

셋째, 서구적 개념의 교육과정과 교육의 다양화였다. 과거 우리나라의 교육은 생의 가치를 높이고 삶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교육이 아니라 오로지 입신영달을 위한 과거(科擧)라는 국가고시를 위한 것으로서 관직에 나가는 방편에 불과했다.

그러나 선교사들이 설립한 기독교 학교를 통해 교육은 건실한 민주시민을 양성하고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교육임을 그리고 다양한 교육 과정을 통해 사회 여러 영역의 인재를 양성하는 것임을 일깨워 주었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 교육은 한국사회의 획기적 변화를 주도했다.(*) 글쓴 이 / 이상규(고신대 역사신학 교수) 출처 / 국민일보 < 다음에 계속 >